티스토리 뷰
목차
사이드카 제도는 주식시장 급변 시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 정지시켜 과도한 손실을 막을 수 있는 안전장치입니다. 하지만 제도에 대한 이해 없이 투자에 나설 경우, 갑작스러운 매매 제한으로 의도치 않은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.
1. 사이드카란?
사이드카(Sidecar)는 선물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이 현물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입니다. 프로그램 매매로 인해 시장이 과도하게 출렁이는 것을 막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.
- 목적: 시장 급변 시 투자자 보호
- ● 프로그램 매매 과열 시 자동 정지
- ● 투자 판단 시간 확보
2. 발동 조건과 효과
사이드카는 아래 조건이 충족될 때 발동되며, 발동 시 일시적으로 시장 거래에 제약이 생깁니다.
- 발동 조건: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전일 대비 ±5% 이상 변동, 1분간 지속
- 효과: 프로그램 매매 호가 5분간 정지
- ● 1일 최대 1회만 발동 가능
3. 실제 발동 사례 (2025년 4월 7일)
2025년 4월 7일 오전 9시 12분, 코스피 200 선물지수가 -5.19% 급락하면서 사이드카가 발동되었습니다. 이는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소식에 따른 글로벌 금융시장 충격이 원인이었습니다.
- 상황: 미국발 대외 리스크 발생
- ● 투자심리 위축 → 급락장 전개
4.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
사이드카와 유사한 개념으로 서킷브레이커가 있으나, 적용 대상과 강도 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.
구분 | 사이드카 | 서킷브레이커 |
적용 대상 | 프로그램 매매 | 전체 주식 거래 |
발동 기준 | 선물지수 ±5% 변동, 1분 유지 | 지수 -10% 하락, 1분 유지 |
정지 시간 | 5분간 호가 정지 | 20분간 매매 정지 |
결론
사이드카 제도는 변동성 높은 장세에서 투자자 보호를 위한 필수적 장치입니다. 하지만 해당 제도의 원리와 조건을 모르면, 예상치 못한 매매 제한으로 인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. 투자 전에 제도적 작동 원리를 충분히 숙지해 두는 것이 필요합니다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종합소득세 기준경비율 업종 기준 조회 (0) | 2025.04.07 |
---|---|
종합소득세 기준경비율 vs 단순경비율 비교 (0) | 2025.04.07 |
종합소득세 연금저축, ISA, IRP, 퇴직연금 세액공제 총정리 (0) | 2025.04.07 |
종합소득세 자녀 공제 항목 조회 (0) | 2025.04.07 |
종합소득세 월세 세액 공제 항목 조회 (0) | 2025.04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