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종합소득세 단순경비율은 업종별로 경비율이 달라, 잘못 적용할 경우 불필요하게 많은 세금을 낼 수 있습니다. 자신의 업종에 맞는 정확한 경비율을 확인하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1. 단순경비율이란?
단순경비율은 수입금액이 적고 장부 작성이 어려운 소규모 사업자를 위해, 국세청이 업종별로 정한 비율만큼 경비를 자동 인정해 주는 방식입니다.
- ✔️ 장부 미작성 시에도 간편하게 신고 가능
- ✔️ 일정 수입금액 이하의 영세사업자에게 적용
- ✔️ 증빙서류 없이 자동 경비 인정
2.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
구분 | 적용 기준 |
사업소득자 | 수입금액이 7,500만 원 이하 |
부동산임대업 | 수입금액 2,400만 원 이하 |
기타소득자 | 단일 소득 발생 시 선택 가능 |
※ 수입금액이 기준을 초과하면 기준경비율 적용이 의무입니다.
3. 주요 업종별 단순경비율 (2024 귀속 기준)
업종 | 단순경비율 |
프리랜서(강사, 작가 등) | 60% |
서비스업(미용실, 세탁소) | 70% |
음식점업 | 65% |
소매업(편의점, 잡화점) | 80% |
부동산임대업 | 43% |
4. 단순경비율 조회 방법
정확한 단순경비율은 국세청 홈택스 또는 국세청 세법해석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① 홈택스 홈페이지 접속
- ② [모의계산] → [기준·단순경비율 조회]
- ③ 업종코드 또는 업종명 검색
- ④ 2024 귀속 단순경비율 확인
📌 단순경비율은 매년 변동되므로, 반드시 최신 연도의 수치를 확인해야 합니다.
결론
단순경비율은 신고를 간편하게 해주는 유용한 제도지만, 업종에 따라 경비율 차이가 커서 잘못 적용하면 세금 손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수입금액과 업종별 경비율을 정확히 파악해 가장 유리한 방식으로 신고를 준비해 보세요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종합소득세 카드 할인 혜택 (0) | 2025.04.07 |
---|---|
2025 종합소득세 분할 납부 기준 및 방법 (0) | 2025.04.07 |
종합소득세 기준경비율 업종 기준 조회 (0) | 2025.04.07 |
종합소득세 기준경비율 vs 단순경비율 비교 (0) | 2025.04.07 |
사이드카란? 발동 기준·효과·사례 완벽 정리 (0) | 2025.04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