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2025년 직장인이 종합소득세 신고를 누락하면 최대 45%의 고세율이 적용되어 수백만 원의 세금을 더 낼 수 있습니다. 반면, 개정된 세법을 정확히 반영해 신고하면 자녀공제·혼인공제 등으로 수십만 원 절세할 수 있습니다. 아래 내용을 통해 정확한 기준과 세율을 확인하세요.
신고 전 사전 계산 진행해보세요!
1.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
직장인이라도 아래 조건 중 하나에 해당되면 종합소득세를 별도로 신고해야 합니다.
- 근로 외 소득이 있는 경우: 프리랜서 수입, 임대소득, 금융·가상자산 소득 등
- 두 곳 이상 근무한 경우: 주된 직장 외 근로소득이 있을 때
- 기타소득 연 300만 원 초과 시: 강의료, 원고료 등 기타소득 발생 시
2. 2025년 종합소득세 세율표
2025년 종합소득세는 아래와 같은 누진세율 구조로 적용됩니다.
과세표준 | 세율 | 누진공제액 |
1,400만 원 이하 | 6% | - |
1,400만 원 초과 ~ 5,000만 원 이하 | 15% | 84만 원 |
5,000만 원 초과 ~ 8,800만 원 이하 | 24% | 624만 원 |
8,800만 원 초과 ~ 1억 5천만 원 이하 | 35% | 1,536만 원 |
1억 5천만 원 초과 ~ 3억 원 이하 | 38% | 3,706만 원 |
3억 원 초과 ~ 5억 원 이하 | 40% | 9,406만 원 |
5억 원 초과 ~ 10억 원 이하 | 42% | 1억 7,406만 원 |
10억 원 초과 | 45% | 3억 8,406만 원 |
3. 2025년 주요 세법 개정 사항
- 자녀 세액공제 확대: 첫째 25만 원, 둘째부터 55만 원, 셋째 이상 추가 공제
- 혼인 세액공제 신설: 혼인신고 시 부부 1인당 50만 원 세액공제 (생애 1회)
- 노란우산공제 소득공제 확대: 총급여 8천만 원 이하 법인대표자도 공제 가능
결론
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는 직장인에게도 중요한 절세 기회이자 의무입니다. 부수입이 있다면 신고 대상 여부부터 확인하고, 최신 세율과 공제를 정확히 반영해 신고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. 지금 바로 종합소득세 계산기로 확인해 보세요.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장인 종합소득세 환급 방법 및 환급일 (0) | 2025.04.25 |
---|---|
2025 직장인 종합소득세 신고 기준 및 방법 (0) | 2025.04.25 |
직장인 종합소득세 계산기 이용 방법 및 바로가기 (0) | 2025.04.25 |
2025 전라북도 농민공익수당 신청 (0) | 2025.04.24 |
2025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신청 방법 (0) | 2025.04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