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2025년 투잡 소득자라면 단순경비율을 활용하여 종합소득세를 간편하게 계산하고 절세할 수 있습니다. 업종별 단순경비율을 적용하면 장부 작성 없이도 필요경비를 인정받아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 아래 내용을 통해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과 세금 계산 방법을 확인하세요.

     

     

    신고 전 모의 계산은 필수입니다

     

    투잡 종합소득세 단순경비율 및 세금 계산
    투잡 종합소득세 단순경비율 및 세금 계산

     

    1.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자

     

     

    단순경비율은 소규모 사업자의 납세 편의를 위해 수입금액에 대한 업종별 평균 비용의 비율을 필요경비로 인정하는 제도입니다. 적용 대상자는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 

    • 직전 연도 수입금액이 업종별 기준 미만인 사업자
    • 당해 연도 신규 사업자

     

    예를 들어, 도소매업의 경우 직전년도 수입금액이 6,000만 원 미만이면 단순경비율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2. 단순경비율 세금 계산 방법

     

    단순경비율을 적용한 종합소득세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. 소득금액 계산: 수입금액 × (1 - 단순경비율)
    2. 과세표준 계산: 소득금액 - 소득공제
    3. 산출세액 계산: 과세표준 × 세율 - 누진공제
    4. 결정세액 계산: 산출세액 - 세액공제

     

    예를 들어, 수입금액이 5,000만 원이고 단순경비율이 60%인 경우:

     

    • 소득금액: 5,000만 원 × (1 - 0.6) = 2,000만 원
    • 과세표준: 2,000만 원 - 소득공제
    • 산출세액: 과세표준 × 세율 - 누진공제
    • 결정세액: 산출세액 - 세액공제

     

    3. 단순경비율 조회 방법

     

    업종별 단순경비율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: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• 단순경비율 조회: [조회/발급] → [기타 조회] → [단순경비율 조회]

     

    해당 메뉴에서 업종코드와 업종명을 입력하면 적용 가능한 단순경비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4. 유의사항

     

    • 무기장 가산세: 장부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 무기장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.
    • 적용 여부 확인: 단순경비율 적용 대상인지 여부는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    • 정확한 신고: 소득금액과 경비율을 정확히 계산하여 신고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결론

     

    투잡 소득자라면 단순경비율을 활용하여 종합소득세를 간편하게 계산하고 절세할 수 있습니다. 업종별 단순경비율을 확인하고 정확한 신고를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이시기 바랍니다.